출처
1. 기숙사
서울대학교 재학생이 사용하는 기숙사는 캠퍼스에 따라 관악학생생활관과 연건학생생활관, 그리고 함춘학생생활관으로 구분된다.
1.1. 관악학생생활관
구관(92x동)의 경우 재건축 공사가 예정되어 있다.(2025.09.기준)
1.1.1. 학생생활관
1) 학부생활관
901동, 906동 (신관, LnL)
915~916동 (글로벌)
919동 (구관, LnL)
921~926동(구관)
2) 대학원생활관
900~905동 (신관)
917~918동 (글로벌)
1.1.2. 가족생활관
931~935동으로, 대학원생(연구생 포함) 중 기혼자, 혹은 돌봄이 필요한 장애학생에게 가족과 함께 생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기숙사이다.
1.1.3. BK생활관
946동으로, 국내·외 교원 및 연구원, 외국인 대학원생(연구생 포함)에게 제공되는 기숙사이다.
946A동과 B동으로 나뉘며, A동은 가족실로 아파트 형태로 두 개의 방과 거실 겸 주방, 화장실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 B동은 스튜디오 형태로 원룸과 화장실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세대는 필수 가구와 냉장고, 가스레인지, 세탁기 등 개별 생활용품이 지급된다.
1.2. LnL
LnL이란 Living and Learning 의 줄임말으로, 함께 생활하고 학습하는 학문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사업이다. LnL 프로그램 희망자는 906동(신관)이나 919D동(구관) 중 선택하여 지원하게 되며, 합격 시 거주와 함께 필수적으로 수강해야 하는 수업들이 존재한다. 1학기에는 ‘관악모둠강좌: 공동체’ 과목을, 2학기에는 ‘학생자율세미나: 거주와 배움’ 과목을 수강하게 된다. 1학점이며 2025년 기준 화요일 저녁 19시~20시 50분까지 진행되었다. 해당 필수 과목을 제외하고도 베이킹, 필라테스 등 각종 비교과 과목들도 개설되어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며, 재학생들은 멘토 자격으로 선발되면 입주할 수 있다. 11월 즈음 멘토 모집 공고가 올라가며, 일반 기숙사 신청 기간 전 최종 결과가 나온다. 멘토는 월별 300,000원(세전)의 활동비도 지급받는다.
1.3. 연건학생생활관
학부생활관
대학원생활관
국제생활관
1.4. 함춘학생생활관
함춘학생생활관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학생들을 위한 기숙사로서, 지난 1961년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협조로 ‘함춘사’라는 이름으로 개관한 이래, 2005년에는 신축을 완료하여 간호대학 학생들의 원활한 임상실습과 면학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어 오고 있다.
지하 1층부터 8층까지는 관생들이 생활하는 생활실으로 24세대, 144명을 수용하고 있으며, 지하 1층 공용공간에는 자율학습실, 컴퓨터실, 세미나실, 체력 단련실 등 관생들의 편의를 위한 공간들이 마련되어 있다. 간호대학 학생들을 위한 생활관이다.
2. 자취
•
공통사항
◦
집 구하기
▪
1학기부터 자취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그 전 해 12월 중순~1월 초부터 부동산을 찾아보면 좋다.
▪
앱에서 보는 사진과 실제로 가서 보는 집은 다르니 반드시 부동산에 직접 방문해야 한다.
▪
바로 주변 부동산에 연락(전화나 문자)하기 / 어플에서 관심있는 집 체크해두고 그 부동산에 연락해서 이 집 보러가도 되나요? 물어보기 정도의 컨택 방법이 존재한다.
▪
집을 보러가서 체크해야 할 조건들을 미리 적어두고 가면 좋다.
→ 층수, 승강기 유무, 교통, 편의시설(편의점, 빨래방 등), 치안, 채광, 소음, 수압 등
▪
자취 관련 지원이 꽤 있는데 그중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청년월세지원이 있습니다. 월세로 거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월 최대 20만원 월세를 지원해줍니다.
대학동·녹두
서울대입구역 부근
낙성대역 부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