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home
교육프로그램
home

총학생회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ent Council

제64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Signal]
총학생회장: 김민규(조선해양공학과 21)
부총학생회장: 김보희(식물생산과학부 21)
총학생회실: 63동 학생회과 436호 총학생회실
연락처: 010-2320-6876(총학생회장 김민규)
이메일: we.snu.ac.kr@gmail.com

1. 개요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이하 “총학”)는 서울대학교의 학사과정 재적 중인 자로 구성된 회의이며 사회 발전에 능동적으로 기여하고 학생들 간의 단결을 강화하며 대학의 자치를 완전히 실현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총학은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1.
의결기구: 전체학생총회, 전체학생대표자회의, 총학생회운영위원회
2.
총학생회장·부총학생회장
3.
집행기구: 중앙집행위원회, 총학생회산하기구, 특별위원회
4.
자치기구: 단과대학생회, 학부·과·반·전공학생회, 총동아리연합회
5.
독립기구: 총학생회선거관리위원회, 회계감사위원회, 총학생회인수위원회

2. 의결기구

2.1. 전체학생총회

전체학생총회는 총학의 최고 의결기구이다. 휴학생을 제외한 총학 회원 전체로 구성한다.(휴학생이 전체학생총회에 출석하려고 할 경우, 해당 전체학생총회에 한해서 구성원으로 편입한다.) 구성원의 10분의 1 이상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구성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최근의 전체학생총회는 2024년 12월 5일 17시에 소집되었으며 의안은 “윤석열 퇴진 요구”였다.

2.2. 전체학생대표자회의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이하 “전학대회”)는 전체학생총회가 개회되지 못할 시 그 최고의결권을 위임받은 최고 의결기구이다. 총학생회장단, 단과대학생회장단, 학부·과·반·전공학생회장, 학부대학 광역 학생대표자, 총동아리연합회장단, 총동아리연합회 분과장과 수의과대학·약학대학·의과대학·치의과대학원 학사과정 학년대표를 전학대회 대의원으로 구성한다.(몇몇 예외사항이 존재한다.) 재적대의원 과반수(총학생회장단의 탄핵안의 경우에는 3분의 2 이상)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대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전학대회 정기회의는 일반적으로 개강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소집한다.
최근의 전학대회 정기회의는 2025년 9월 9일 19시에 소집되었으며 의안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칙 일부개정안 (1) 논의의 건”,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칙 일부개정안 (2) 논의의 건”,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칙 일부개정안 (3) 논의의 건”,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칙 일부개정안 (4) 논의의 건”,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칙 일부개정안 (5) 논의의 건”,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칙 일부개정안 (6) 논의의 건”이었다.

2.3. 총학생회운영위원회

총학생회운영위원회(이하 “총운위”)는 전학대회 다음의 의결권을 가지는 의결기구이다. 총학생회장단, 단과대학생회장과 총동아리연합회장을 위원으로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총운위 정기회의는 매주 1회 소집한다.
현재는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2025년 9월 27일자 기준)
총학생회장(의장)
김민규
부총학생회장
김보희
간호대학 학생회장
김고은(부: 김성은)
경영대학 학생회장
박태경(부: 라윤정)
공과대학 학생회장
이정웅(부: 안동현)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생회장
김누리(부: 조윤서)
미술대학 학생회장
조민경(부: -)
사범대학 학생회장
김이수(부: 오수현)
사회과학대학 학생회장
김민성(부: 손가연)
생활과학대학 학생회장
이준희(부: 김세이)
수의과대학 학생회장
이석희(부: 김경범)
약학대학 학생회장
이태계(부: 송서윤)
음악대학 학생회장
김연우(부: 이도현)
의과대학 학생회장
-(부: -)
인문대학 학생회장
임근우(부: 김보나)
자연과학대학 학생회장
김가연(부: 최유섭)
자유전공학부 학생회장
신서경(부: 이지원)
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 학생회장
이준(부: 김건)
첨단융합학부 학생회장
김동일(부: 신건)
총동아리연합회장
장승우

3. 총학생회장ㆍ부총학생회장

총학생회장은 총학을 대표하며 총학의 업무를 총괄한다. 총학생회장은 전체학생총회, 전학대회, 총운위의 의장이 된다.
부총학생회장은 총학생회장의 업무를 보좌하며 대행할 수 있다. 부총학생회장은 서울대학교 생활협동조합의 당연직 이사가 된다.

4. 집행기구

4.1. 중앙집행위원회

중앙집행위원회(이하 “중집”)는 총학의 최고 집행기구이다. 중집의 업무는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이하 “중집장”)이 총괄한다.
“총학을 한다”고 하면 대체로 중집원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중집장단 산하에 국과 TF를 운영하는 형식이다. 현재는 교육국, 교통국, 디자인국, 문화소통국, 복지국, 사무국, 인권국으로 구성한다.
교육국: 교육 및 학사 제도와 관련된 정책의 기획 및 집행을 담당한다.
교통국: 교내외 이동을 더 편리하게 만들고, 등하교셔틀·순환셔틀 기획 및 운영을 담당한다.
문화소통국: 총학생회의 각종 사업에 대한 학생 의견을 수렴하고, 소통의 시그널 등 각종 문화 행사를 기획하여 담당한다.
복지국: 캠퍼스 생활 속 다양한 불편 사항을 개선하고, 복지 향상을 위한 사업을 진행한다.
사무국: 총학생회 재정 운영 및 외부 기업과의 컨택을 통한 제휴, 교내 각종 정보 자료 제작 등을 담당한다.
인권국: 학내 인권 보장과 차별 없는 학교 문화 조성을 위해 인권 관련 정책 추진 및 개선 활동을 담당한다.
디자인국: 가독성이 좋은 카드 뉴스 및 행사에 사용되는 홍보물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

4.2. 총학생회산하기구

총학생회산하기구(이하 “산하기구”)는 총학생회의 연속성과 관계없이 해당 업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상설 집행기구이다. 현재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문화자치위원회(이하 “문자위”): 문자위는 학내 자치단체의 대중사업을 지원하고, 독립적인 문화사업을 기획·집행한다.
자치언론기금(이하 “자언기”): 자언기는 학내 자치언론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구이다. 현재 자언기 회원인 자치언론은 “The SNU Quill”, “THISABLE”, “서울대저널”, “Queer, Fly”가 있다.
축제하는 사람들(이하 “축하사”): 축하사는 서울대학교의 봄·가을 축제를 기획·진행한다.
자치도서관: 자치도서관은 학생사회의 기록 보존 및 학술 사업을 담당한다.
대학행정자치연구위원회(이하 “대자연”): 대자연은 대학본부의 재정, 정책 등 각종 교육행정에 있어서 그 과정 및 결과를 투명히 밝히도록 노력하며, 궁극적으로 대학 의사결정과정에 온전한 학생참여권을 획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등록금심의위원회에 파견되는 총학 측 위원(학부생 대표) 2인이 요청하는 자문업무를 수행한다.
학생·소수자인권위원회(이하 “학소위”): 학소위는 차별과 인권침해에 관한 총학생회 구성원의 다양한 의견을 대학사회 전반에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별과 학생·소수자 인권의 침해 사안에 대한 대응, 해결방안의 도모, 인권의식 고취를 위한 사업수행, 권리 및 다양성 의제 단위들의 활동보장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4.3. 특별위원회

특별위원회(이하 “특위”)는 본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설치하는, 단기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임시 집행기구이다. 2025년에 설치된 특위로는 법제 특별위원회와 제21대 대선 대응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있다.

5. 자치기구

5.1. 단과대학생회(자세한 내용은 별도 문서 참고)

단과대학생회는 각 단과대학 학생들의 민주적 의사결정과 집행을 위한 최고 자치기구이다. 현재 단과대학생회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선거운동본부명
학생회장
부학생회장
제34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학생회
하루
김고은(간호학과 23)
김성은(간호학과 23)
제39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학생회
새벽
박태경(경영학과 23)
라윤정(경영학과 23)
제37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생회
Eng:in
이정웅(건설환경공학부 22)
안동현(화학생물공학부 21)
제41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생회
너울
김누리(식품·동물생명공학부 20)
조윤서(농경제사회학부 23)
제40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학생회
노트
조민경(디자인과 23)
최지혜(조소과 23)
제44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학생회
하루
김이수(물리교육과 23)
오수현(국어교육과 23)
제41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생회
사색
김민성(정치외교학부 23)
손가연(사회학과 23)
제33대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학생회
이준희(소비자아동학부 23)
김세이(소비자아동학부 24)
제41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학생회
복실
이석희(수의학과 22)
김경범(수의학과 22)
제44대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학생회
하루
이태계(약학과 22)
송서윤(약학과 23)
제24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학생회
지음
김연우(국악과 23)
이도현(음악학 23)
제57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생회(사퇴) 202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번대표연석회의
광장(사퇴)
조수혁(의학과 21)(사퇴)
전유민(의예과 24)(사퇴)
제39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학생회
하루
임근우(국어국문학과 23)
김보나(노어노문학과 23)
제42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학생회
이음
김가연(물리천문학부 22)
최유섭(통계학과 23)
제16대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학생회
하루
백장운(자유전공학부 23)(사퇴) 신서경(자유전공학부 23)
신서경(자유전공학부 23)(보궐선거로 학생회장으로 당선) 이지원(자유전공학부 23)
제2대 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 학생회
백야
김동일(첨단융합학부 24)
신건(첨단융합학부 24)
제12대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 학생회
하루
이준(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 23)
김건(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 23)

5.2. 학부·과·반·전공학생회

학부·과·반·전공학생회는 각 학부·과·반·전공 학생들의 민주적 의사결정과 집행을 위한 최고 자치기구이다.

5.3. 총동아리연합회

총동아리연합회(이하 “총동연”)는 총동연 회원의 민주적 의사결정과 집행을 위한 최고 자치기구이다.

6. 독립기구

6.1. 총학생회선거관리위원회

총학생회선거관리위원회(이하 “총선관위”)는 총학 선거의 공정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비상설 독립기구이다. 총선관위는 총학 선거의 제반 업무를 총괄하고, 총학 선거에 관한 심의·의결권을 가진다.

6.2. 회계감사위원회

회계감사위원회(이하 “회감위”)는 전학대회의 위임을 받아 집행기구의 예산안과 결산내역을 검토·심의하고 회계를 감사한다. 회감위는 중집위의 예산안·결산내역의 검토, 중집위의 예산안·결산내역 검토 의견의 전학대회로의 제출, 산하기구·특위의 예산안·결산내역의 심의·승인, 집행기구의 상시적인 회계 감사, 회계감사보고서의 작성·제출을 수행한다.

6.3. 총학생회인수위원회

총학생회인수위원회(이하 “총인수위”)는 총학 업무의 원활한 인수와 중집위 구성 이전의 집행을 위한 독립기구이다. 총인수위는 신임 총학 중집위 위원 인선·임명에 관한 업무, 신임 총학 중집위가 구성될 때까지의 제반 사업, 현직 총학생회장·부총학생회장으로부터의 업무 인수를 수행한다.

7.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운영위원회(이하 “단운위”)는 총학 선거가 무산될 때나 총학생회장·부총학생회장 양자가 유고인 동시에 보궐선거를 실시할 수 없을 때 단과대학학생회장과 총동연장을 위원으로 구성한다.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 의장과 부의장은 단운위 위원 중에 호선하며, 총학생회장과 부총학생회장에 준하는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의장은 중집위를 구성하여야 한다.
최근의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는 2025년 5월 19일에 “총학생회장(김민규) 및 부총학생회장(김보희) 탄핵안” 발의로 구성되고 2025년 5월 28일에 소집된 2025 상반기 전학대회 임시회의에서 “총학생회장(김민규) 및 부총학생회장(김보희) 탄핵안”이 최종 부결됨에 따라 해산되었다.

8. 역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1994년 이전의 자료가 정확히 아카이빙 되어있지 않아 과거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의 대수를 정확히 알기 어렵다.
1975년 이전까지는 단과대학 학생회장이 모여 그 가운데 선출했으며, 이후 정부가 학도호국단을 조직하면서 한동안 학생 자치 활동이 위축됐다.
11월, 12월에 당선된 총학생회의 경우 그 다음 연도에 속한다.

총학생회 목록

총학생회장 (총학생장)
부총학생회장 (총부학생회장, 부총학생장)
비고
제1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60)
-
-
1960년 5월 23일 서울대학교학생회헌장 제정 및 제1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출범 12개 단과대학 학생회장과 여학생 대표 1명으로 구성되었다.
제2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3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4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5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6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7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8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9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10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11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12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13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14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15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16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17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18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19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20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21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22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84)
백태웅
김형준
1984년 3월 21일 서울대학교 학도호국단 총학생장 및 부총학생장에 선출
제23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84)
이정우
백기영
1984년 9월 28일 출범 최초 직접선거
제24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85)
김민석
강영근
1985년 4월 당선 미문화원점거농성사건 지휘 혐의로 김민석 수배 총여학생회장 이진순 2025년 국무총리
제25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85)
김용철
손영진
1985년 9월 19일 보궐선거 당선 1985년 9월 13일 보궐선거 입후보자 유세 때 반정부 반미 구호 등을 외쳐 학생시위를 주동한 혐의로 선거 당일 김용철 경찰 연행
제26(?)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86)
김지용
?
당선 2개월만에 투옥 * 김지용, 오경훈, 황이수 3인의 순서를 확인하지 못함.
제27(?)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86)
오경훈
?
* 김지용, 오경훈, 황이수 3인의 순서를 확인하지 못함.
제28(?)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86)
황이수
?
* 김지용, 오경훈, 황이수 3인의 순서를 확인하지 못함.
제29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87)
이남주
?
제30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88)
전상훈
?
제31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32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33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34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35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92)
태재준
?
제36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93)
조두현
손진욱
제37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94)
강병원
김태훈
제38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95)
김태식
?
제39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96)
여성오
진재선
제40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97)
이석형
?
제41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98)
정병도
배병화
제42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1999)
박경렬
?
제43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00)
허민
강제욱
제44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01)
장종오
이민규
제45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02)
구정모
이석영
제46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03)
박경렬
홍상욱
제47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04)
홍상욱
박경동
제48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05)
류정화
임성우
제49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06)
황라열
송동길
2006년 6월 탄핵(최초 탄핵)
제50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07)
한성실
박찬섭
제51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08)
전창열
박진혁
제52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09)
박진혁
김진섭
2010년 3월 명예 탄핵
제53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11)
이지윤
임두헌
제54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12)
오준규
이주용
제55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13)
김형래
이은호
제56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14)
이경환
김예나
2014년 9월 총학생회장단 사퇴
제57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15)
주무열
김보미
제58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16)
김보미
김민석
제59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17)
이탁규
임수빈
2017년 3월 총학생회장 사퇴
제60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18)
신재용
박성호
제61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19)
도정근
김다민
총학생회장 사퇴
제62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22)
김지은
전현철
제63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23)
조재현
박용규
제64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2025)
김민규
김보희

연도만 확인되는 총학생회 목록

연도
총학생회장
부총학생회장
비고
1947
손도심(1920년생)
?
1954
심재갑(1934년생)
?
초대 총학생회장이라는 기록도 있다.
1959
고건(1938년생)
?
1967
정형근
?
1970
노동일
?
1980
심재철
?
1982
김상준
?
1983
심양섭
?
1984
이호윤
?
1989
문광명
?
1991
이철상
?

연도와 대수를 확인하지 못한 총학생회 목록

총학생회장
부총학생회장
비고
이의영(1930년생)
?
정철기(1937년생)
?
최회원
?
1970년대에 총학생회장이었다는 기록이 있다.
문용식
?
1983년에서 1984년 사이에 총학생회장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 페이지: 스누버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