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home
교육프로그램
home

인턴

목차

1. 랩인턴

1.1. 방법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교수님께 개별적으로 "교수님의 ~~연구에 관심이 있어 ~~를 해보고 싶습니다~~" 이런 식으로 메일을 보내 지원하는 방법이 있고,
두 번째는 자연대와 재료공학부 등과 같이 학부나 단과대 차원에서 모집 공지를 올려 이를 통해 지원하는 방법이 있다.

1.2. 시기

일반적으로 3학년부터 시작하지만, 빠른 경우에는 2학년 때부터 하는 사람도 있다. 고학번들을 선호하는 교수님들이 꽤 계시다.

1.3. 기간

방학동안 2개월 정도 짧게 하는 경우도 있고, 학기 중에도 길게 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학기 중에 랩인턴을 하는 경우에는 수강하는 학점을 낮춰서 랩인턴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한다.

1.4. 업무 강도

랩 바이 랩이다. 대학원생과 동일한 일정을 수행한다고 명시해놓은 랩도 있고, 자율출근이라 필요할 때만 출근하고 집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한 경우도 있어 편차가 크다.

1.5. 급여

인턴을 하는 랩마다 다르다. 급여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고, 재료공학부 인턴 프로그램은 월 50만, 자연대 인턴은 월 30만원을 받는다. (2021년도 기준)
공대 랩 인턴
일반적으로는 교수님께 개별적으로 연락하여 랩 인턴을 하게 되지만, 재료공학부같이 학과 차원에서 모집을 도와주는 곳도 있다.
일반적으로 3학년부터 시작하고, 빠른 경우에는 2학년부터 하기도 한다.
농생대 학부연구생
농생대에서 운영하는 재학생 역량개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수당을 받으면서 랩인턴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학년에 무관하여 신청할 수 있으며 방학 때 진행된다.
학부연구생과 별개로 교수님게 직접 컨택하여 랩인턴으로 활동활 수도 있다.
자연대 랩 인턴
학부생이 교수님께 컨택하여 랩에서 연구를 돕는 학부생 연구 인턴십이 존재한다.
학부 재학생 2~4학년이 신청 가능하다.
방학 동안 개설되는 유형 1과 학기 중 운영하는 유형 2로 나뉘며 장려금 또한 다르게 책정된다.

2. 기업인턴

2.1. 방법

채용공고를 보고 지원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나, 스타트업 인턴 같은 경우에는 지인을 통해 추천 받는 경우도 있다. 채용 공고의 경우 경력개발 센터나 외부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진로 탐색 페이지를 참고해보자!
유경험자들의 말에 따르면, 기업 인턴 지원을 하는 과정에서 연달아 인턴 지원에 떨어지면 우울감이 찾아올 때가 있는데, 이는 단지 그 기업과 자신이 어울리지 않았을 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래서 기업 인턴은 많은 지원을 해보는 것이 유리하다고.
학교차원에서 연결해주는 인턴도 존재한다. 그린리더십 인턴십을 예시로 들 수 있다.

2.2. 시기

보통 2학년 말~ 3학년 쯤 시작하기도 하나, 필자가 아는 선에선 1학년 말에 네이버 인턴을 한 선배도 있으니 지원자 본인의 기업 선호여부, 채용 공고 서치 등에 달려있어 인턴 시기는 천차만별이다.

2.3. 기간

방학기간을 활용한 2개월 인턴이 많다. 그러나 채용 공고엔 보통 6개월을 기간으로 하기 때문에 체험형 인턴/ 정규직 전환형 인턴 종류 등에 따라 케바케이다.

2.4. 업무 강도

케바케이다. 그러나 유경험자들의 말에 따르면, 대기업보단 틀이 많이 잡히지 않은 스타트업 인턴을 할 경우 배우는 것이 많다고들 한다. 그러나 이것도 일부일 뿐이다.

3. 간호사 인턴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 인턴십이 가장 유명하다. 보통 겨울 방학 중 1~2주 실시하며, 인턴십 경험이 있으면 해당 병원 채용 시 선발 절차 일부를 건너뛰는 등의 혜택이 있기도 하다.